지금 우리 기업에 ‘디지털 역량 진단’이 필요한 이유

DX·AX시대, 조직과 개인의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는 방법은?
Feb 24, 2025
지금 우리 기업에 ‘디지털 역량 진단’이 필요한 이유

우리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디지털 혁신 전략 수립, 전담 조직 신설, 시스템 컨설팅, 코딩 교육 등 많은 것을 실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왜 아직도 가시적인 성과가 보이지 않는걸까요?

바로, 사람이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바로, 사람이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노핏파트너스의 디지털 역량 진단(DT-Q™)은 디지털 이니셔티브를 활성화 시켜 디지털 혁신을 위한 조직을 돕습니다.

디지털 혁신은 사람으로부터!

성공적인 DX의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바로 ‘사람’입니다. 변화에 적극 의지를 보이던 조직원들이 가시적인 결과가 없는 것을 초조해 하며, 변화 추진 도중에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 즉, 변화 위기가 도래하게 됩니다. 변화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Learning & Development가 필요합니다.

*출처 : Boston Consulting Group(수정 : 이노핏파트너스)

디지털 역량 진단(DT-Q™)이란?

DT-Q™는 디지털 시대, 조직의 전략 실행에 부합하는 개인과 조직의 역할 인식과 역량 정도를 규명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교육의 체계적 설계, 인재 선발, DX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의 역량 확인 등을 도와주는 온라인 진단 도구입니다.

이노핏파트너스 디지털 역량 진단 모델

이노핏파트너스와 한양대학교 장석권 교수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5개의 영역에 대한 조직의 준비도와 실행력 수준을 분석하고 대상자간 Gap을 통해 현재 필요한 교육의 주제와 방법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디지털 역량 수준 파악하고, 역량에 맞는 교육 프로젝트 도출 및 설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Needs(요구인식) : DX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Seeds(공급역량) : DX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Internal(내재적) : 개인이 보유한 역량 External(외재적) : 개인이 보유한 역량을 조직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

진단 모델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DT 리터러시 (Needs * Internal)
디지털 언어구사능력으로 DX에 근간이 되는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

DT 탤런트 & 스킬 (Seeds  *  Internal) + DT 데이터
DX와 관련된 기술적인 내용의 인식과 이해도

DT 혁신역량 (Seeds  *  External)
DX를 추진하는 조직 프로세스나 거버넌스에 대한 개인의 이해도와 준비도

DT 태도 (Needs  *  External)
DX를 추진하는 조직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태도


디지털 역량 진단의 결과물은?

디지털 역량 진단을 통해, 우리 임직원과 조직은 이러한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1. 우리 임직원은 어느 정도의 디지털 역량을 보유하고 있을까?

기업 내 부서별은 물론이고, 이노핏파트너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군 별, 직급 별, 부서 별 등 기업이 원하시는 조건으로, 임직원 개인이 그룹 대비 상대적인 수준 파악이 가능합니다.

#2. 조직/개인의 역량 함양 우선순위는 무엇일까?

세부영역에 대해 현재 개인이 함양해야 하는 역량들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우리 기업의 디지털 역량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조직별, 그룹별 종합보고서를 제공하여 우리 기업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은, 우리 기업이 가진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여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기업의 디지털 역량 진단은 마치 의사가 환자에게 필요한 처방을 내리기 위해 철저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과 같습니다. 환자가 건강 검진을 받아 혈액 검사, 심전도, 영상 진단 등을 통해 현재 건강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그 결과에 맞춰 약이나 치료법을 처방 받는 것처럼, 이노핏파트너스의 진단 도구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현재 상태를 진단합니다. 이렇게 얻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디지털 전환 전략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어, 각 조직의 상황에 최적화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역량 진단, 이렇게 활용하세요!

이노핏파트너스의 디지털 역량 진단은, Dynamic 진단으로 영역별 필수 질문을 제외하고 기업에 맞추어 질문을 변형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보고서의 경우 진단 목적 등에 따라 별도 커스텀이 가능하오니 편하게 문의해주세요!

  • 맞춤형 진단 문항 구성:
    기업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하위역량을 중심으로 문항을 조정하여, 기존의 일률적인 평가가 아닌 맞춤형 진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세밀한 역량 분석:
    고객사가 설정한 디지털 역량의 세부 영역별로 진단 문항을 재구성함으로써, 조직 내 각 부서나 팀의 강점과 약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전략적 개선 방향 도출:
    커스터마이징된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은 내부 교육 프로그램 및 역량 강화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진단 프로젝트 다수 진행

SK, CJ, GS, NH, 현대, 신한 등 디지털 전환을 리드하는 기업이 선택한 디지털 역량 진단입니다. (상세 레퍼런스는 문의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진단 참여기업 및 업종(데이터)

120개 이상의 기업 / 약 3만 5천명 이상의 금융, 건설, 제조, 공공, 유통, 전자, 서비스, 에너지, 헬스케어 등 다양한 업종에서 참여한 임직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교 분석 과정에서 민감한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엄격한 보안 정책과 데이터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사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Share article

기업L&D 전문기관, 이노핏파트너스 블로그